분류 전체보기

· android
[Background]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광고를 넣을 필요가 있어서 Google에서 제공하고 있는 광고 SDK인 Admob을 적용하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문제가 그냥 평범한 배너형 광고를 사용하게 되면 최상단 최하단 같은 곳에만 적용이 되고 무엇보다 아래처럼 콘텐츠를 가리거나 디자인이랑 어울리지 않고 너무 동떨어진 느낌이 들었어요. 이 문제점을 Google에서도 파악해서 그런지 다른 대체 방안을 내는데 그건 바로 네이티브 광고입니다. 영어로 토종이라는 뜻을 가진 Native 답게 개발자가 직접 광고 UI를 디자인에 맞게 커스텀을 가능하게 만들어 줍니다. 이 글은 멀티 모듈을 다룬 글에서 사용된 프로젝트 위에 추가를 했습니다. 이 글에 사용된 버전들 Java 17 Gradle 8.0.2 kotlin 1..
[Background] 저번글에는 채팅 리스트를 어떻게 커스텀을 진행할지에 대해서 한번 알아봤습니다. 이번 글에는 이어서 한번 채팅방을 어떻게 커스텀을 진행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자세하게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이번에 샌드버드 uikit 3.9 버전이 나오면서 기존에 쓰던 방식에서 조금 바뀐 점이 있어서 한번 다뤄보겠습니다. 내용들이 어느 정도 처음 정리 글과 연과 되어 있으니 모르는 용어가 있다면 한번 확인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jcodingcraft.tistory.com/2 (Android, Kotlin) 샌드버드 UIKit과 Customization에 대해서 [Background] 이번에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면서 채팅방 구현이 필요했는데, 막상 일일이 직접 구현을 하자니..
· android
[Background]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소셜 로그인을 도입할 필요가 있었는데 팀원끼리 같이 모든 기능을 구현하기에는 너무 난이도가 높고 무엇보다 보안이 너무 취약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Google Login을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인터넷상에 있는 글들은 대부분 Deprecate 된 코드를 쓰지 않나 아니면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는 것 같았습니다. 특히 대부분 블로그들은 Firebase와 Google OAuth을 혼동하지 않던가 아니면 왜 도입하는지 이유조차 모르는 느낌이 강했습니다. 그래서 잘못 정보글 사이에 치여서 도입하는데만 10시간이 걸렸습니다. 저처럼 시간 낭비하는 분들이 나오지 않도록 이번 글을 쓰게 됐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백엔드 서버가 따로 있다고..
[Background] 안드로이드 앱 개발은 화면이 몇 개 밖에 되지 않던 과거와 달리 점점 복잡해지면서 요구사항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아키텍처와 모듈화 된 접근 방식이 필수적입니다. 그래서 저는 이번 글을 통해 안드로이드 앱 개발을 혁신적으로 개선하는 방법으로 MVVM 아키텍처, Clean Architecture, 그리고 Multi-Module를 조합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코드는 어느정도 저번 글에 이어서 작성돼서 저번 글을 한번 빠르게 읽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번 글은 각각 아키텍처가 뭔지 알아보는 시간은 아니라서 각각에 대해 간단하게만 소개하고 넘어가겠습니다 https://jcodingcraft.tistory.com/4 (android/kotlin) 멀티..
Jung0313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4 Page)